-
머신 러닝, 딥 러닝, 지도 학습(분류, 회귀), 비지도 학습, 강화 학습cs231n 강의 2022. 4. 14. 21:09
▶ 초심공룡을 아는가, 그 모임엔 막내가 정말 치명적이다.
cs231n 수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필요지식들이 있어 정리한다.
1. 머신 러닝
-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게 하는 알고리즘과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이다.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A%B3%84_%ED%95%99%EC%8A%B5)
2. 딥 러닝
- 머신러닝의 한 분야로 여러 비선형 변환기법의 조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추상화를 시도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집합이다.
=> 즉, 다량의 데이터나 복잡한 자료들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이나 기능을 요약하는 작업이다.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EB%94%A5_%EB%9F%AC%EB%8B%9D)
3. 인공지능, 머신 러닝, 딥 러닝 관계 정리
인공지능(AI) ⊃ 머신러닝(ML) ⊃ 딥러닝(DL)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거다.
cs231n 수업은 딥러닝 기술 중에서 CNN 에 대해서 배운다.
4.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 학습
- 3가지 모두 머신 러닝의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머신 러닝 3가징 학습방법 1) 지도 학습
- 정답이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것이다. 입력 값이 생기면 입력값에 대한 Label를 주어 학습시킨다.
-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 K-최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s)
-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 서포트 벡터 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
- 결정 트리(Decision Tree)와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 신경망(Neural Network)
- 지도학습의 종류는 분류와 회귀 2가지 있다.
{1-1} 분류
- 주어진 데이터를 정해진 카테고리(라벨)에 따라 분류하는 모델이다.
- 이산적인 데이터를 다룰때 사용한다.
{1-2} 회귀
- 어떤 데이터들의 특징를 기준으로, 연속된 값을 예측하는 모델이다.
- 연속적인 데이터를 다룰때 사용한다.
- 주로 어떤 패턴이나 트렌드, 경향을 예측할 때 사용한다.
2) 비지도 학습
- 정답 라벨이 없는 데이터를 비슷한 특징끼리 군집화 하여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도록 학습시킨다.
- 지도 학습에 필요한 특정 데이터의 특징(Feature)을 찾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링(Clustering) 이다.
3) 강화 학습
- 어떤 환경 안에서 정의된 에이전트가 현재의 상태를 인식하여, 선택 가능한 행동들 중 보상을 최대화 하는 행동 혹은 행동 순서를 선택하도록 학습시킨다.
-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 더 많이 경험하게 만들어 여러 시행착오를 통해 학습시키는 것이다.
- 알파고를 이 기술로 만들었다.'cs231n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arning rate(Step size), Back propagation, Activation function딥러닝 네트워크 구조, Weight, Bias (0) 2022.04.23 cs231n 3강 정리 (0) 2022.04.16 cs231n 2강 정리 (0) 2022.04.09 CNN과 Feature extraction(feat. Padding, Pooling) (0) 2022.04.07 cs231n 1강 정리 (0) 2022.04.02